이제 RDS 인코딩, 타임존 설정을 하기 위해
먼저 파라미터 그룹 설정을 해줘야 한다.
RDS > 파라미터 그룹에 들어가서 파라미터 그룹 생성 클릭해주고
파라미터 그룹패밀리는 아까 DB를 생성한 버전과 같이 MYSQL8.0을 선택해준다.
그룹 이름과 설명은 임의로 설정해줬다.
생성 클릭하면 기본 그룹과 함께 방금 생성한 파라미터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
<타임존 설정>
생성한 그룹 이름을 클릭하면 아래의 화면이 보인다.
타임존을 설정해줄 것이기 때문에 time_zone을 검색해준다. 세번째로 검색되는 time_zone을 ASIA/SEOUL로 설정해주기 위해 상단 우측의 파라미터 편집을 클릭!
아래 사진처럼 Asia/Seoul을 선택하고 변경사항을 저장하면 된다
->타임존 설정 끝!
이제 인코딩을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인코딩 -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나 기호들을 컴퓨터가 이용할 수 있는 신호로 만드는 것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UTF-8로 인코딩을 해주어야 깨지지 않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UTF-8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아까와 같이 검색창에 char을 검색해주고 파라미터 편집을 클릭한다.
종종 utf8로 설정할 수 없는게 있지만 utf8로 설정이 가능한 항목은 위처럼 다 utf8로 설정해줍니다
이렇게 하면 인코딩 설정이 완료!
하지만 이대로 하면 그냥 파라미터 그룹을 생성한 것 뿐.. DB에 적용되어 있지 않기에 적용을 해주어야 한다.
다시 생성한 DB로 돌아가면
원하는 DB를 클릭하고 파라미터 그룹 설정을 해주기 위해 수정 버튼 클릭해준다.
아래로 스크롤해서 추가구성 부분에서
DB파라미터 그룹 설정을 default에서 아까 생성한 파라미터 그룹으로 변경해준다. 수정 후 계속 클릭 ->
수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맞게 수정했는지 확인하고,
수정 예약을 즉시 확인하고 싶기에 즉시 적용을 선택했다.
확인해보기 위해서 작업을 클릭해 DB 재부팅을 해준다. 경고문 비슷한게 떴지만 무시하고 믈릭해주면 재부팅이 완료된다.
=>모든 설정이 완료됐다!
'UM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미데이터 반영하기 (0) | 2023.05.14 |
---|---|
RDS (0) | 2023.05.01 |
AWS RDS 구축, 인코딩, 타임존 설정 및 적용 (0) | 2023.04.14 |
UMC 2주차 (0) | 2023.04.12 |
UMC 1주차 워크북 개념 정리 (0) | 2023.04.02 |